다니엘 크레이그 007의 마지막 노 타임 투 다이.
재밌고 마음에 들었다. 내 안에서는 스카이폴과 비슷하거나 위일지도. 물론 단점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니고 엉성한 부분도 많다. 하지만 007이 언제는 치밀했는가? 오히려 그런 구멍이 있는 부분을 마들렌의 과거와 빌런의 관계와 그걸 쫓는 본드의 이야기로 조성되는 긴장감 있는 드라마가 제대로 메워주고 있다고 본다.
다만 그렇기에 이건 007이 아니다라고 하는 사람들의 생각도 이해는 된다. 왜냐하면 매우 '개인적'이니까. 다니엘 크레이그의 007은 카지노 로얄 이후로 매우 개인적인 동기로 이야기가 전개된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스펙터까지는 국가라는 것의 언급이나 시스템이 나왔지만 본작에서는 국가도 조국도 안 나오고 오직 가족과 사랑이 행동원리다. 그렇기에 극의 전개는 첩보물이나 추격극의 성격을 띄지만 그 안에 있는 원리는 매우 개인적인 것이다. 또한 빌런의 동기도 국가나 현체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이 부분은 작중에서 흐지부지하게 돼서 신경 쓰이는 부분이긴 하지만). 그래서 그런 끝을 낼 수 있었다고 보고 매우 적합한 엔딩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작품의 첫 인상에 대해서 말하자면 사실 이번 007은 내심 걱정이 컸다. 스펙터 엔딩에서 다니엘 본드로서 보여줄 수 있는 건 다 보여줬다 생각했고 거기서 MI6를 떠나면서 다니엘의 007를 끝내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했으니까. 그런데 다음 작품이 나오고 스펙터에서 이어지니 과연 어떻게 풀어나갈까 생각했는데, 매우 과감하고 좋은 해답을 냈다고 생각한다. 바로 제임스 본드를 죽인 것이다. 이 부분이 매우 큰 마이너스라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내게 있어서는 이거뿐이라고 생각한다. 다니엘의 본드가 지금까지 몇번이고 휴직(은퇴)를 반복해왔고 전작 스펙터에서 완전히 은퇴를 하고 끝냈는데 다시 복귀했다? 그런 인물에게는 죽음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 굴레를 벗어나는 건 그것뿐이니까. 그래도 이 죽음은 의미 없지 않다. 극안에서 필요한 일이었고 무엇보다 제임스 본드 자신에게는 뒤를 신경쓰고 계속 돌아보며 살아야 하는 삶의 끝이니까. 그렇기에 마지막 폭발 장면에서 그의 등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그 시선에 뒤돌아보지 않을테니까.
마지막으로 매우 메탈 기어 솔리드스러웠다.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son of Interest Season 5 (1) | 2016.06.23 |
---|---|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Star Wars: The Force Awakens> (0) | 2015.12.27 |
괴물의 아이 〈バケモノの子〉 (0) | 2015.07.15 |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桐島、部活やめるってよ> (0) | 2015.05.14 |
Person of Interest Season 4 Final Episode-YHWH (0) | 2015.05.13 |